-
[비공개] [법을 알고 기사 쓰기 (75)] ‘몰래녹음’이면 ‘몰래녹음’이면 보..
- 음성 보도 시 주의할 점 양재규 언론중재위원회 정책연구팀장·변호사 아는 방송기자로부터 전화가 왔다. 목소리는 차분했지만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내용인즉 최근 자신이 취재, 보도한 방송에 대해 음성권 침해 등을 이유로 이의가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자에게 항의 전화를 한 사람은 대학교수였다.교수가 지도하는 대학생들이 농어촌 지역 집 고쳐주기 봉사활동을 진행했던 모양이다. 사업의 취지는 좋았지만 문제는 결과였다. 전문성이 떨어지는 학생 중심으로 일이 진행되다 보니 여러 가지 하자가 발생했던 것이다. 심지어 집을 고친 것이 아니라 망쳐 놓았다는 소리까지 나왔다. 이 와중에 일부 지도교수는 현장조차 찾지 않았다는 정황이 포착됐다. 이에 기자는 지도교수의 태만을 지적하고자 교수와의 통화 내용을 방송에 내보냈..추천 -
[비공개] [한국디지털미디어사 ⑥]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 1985년 설립 후 ..
- 제이큐브(상) 박지환 한국IT기자클럽 편집장 제이큐브가 제대로 된 뉴미디어 서비스를 시작한 것은 1995년 3월 2일 국내 최초로 인터넷 신문을 선보일 때였다. 기업체, 학교, 관공서를 중심으로 인터넷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세상이 열렸다. 제이큐브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끊임없는 변화로 발 빠르게 시장 선점에 나섰다. ‘국내 최초이자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 제이큐브(JCube)로 사명이 바뀐 조인스를 설명할 때 가장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다. 지난해 10월 바뀐 제이큐브라는 사명은 아직까지 일반인들에게 낯설다. 일반인들에게는 조인스가 훨씬 친숙한 이름이다. 사명이 바뀌기 전까지 조인스가 그동안 디지털 미디어계에 큰 획을 그으며 변화의 흐름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국내 인터넷 신문의 대명사로 불리는 제이큐브의 ..추천 -
[비공개] [미디어포럼] 정부 간섭 굴레 벗고 ‘공공성·상업성 조화’ 숙제 안아
- ‘한국의 텔레비전 방송 50년: 과거, 현재, 미래’ 학술 세미나 김영희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책임연구원 2011년 올해는 KBS의 전신인 서울텔레비전방송이 개국한 지 50주년 되는 해다. 서울텔레비전방송은 5·16 이후 군사정부가 설립을 추진해 1961년 12월 31일 개국한 국영 텔레비전 방송으로, 서울텔레비전방송 개국을 계기로 우리나라도 본격적으로 텔레비전 방송 시대가 시작됐다. 물론 우리나라에 처음 출현한 텔레비전 방송은 1956년 개국한 HLKZ-TV이다. 미국 RCA 주도로 개국한 HLKZ-TV는 민간 상업 텔레비전 방송이었다. 그러나 경영난을 겪다가 1957년 2월 대한방송주식회사가 인수해 DBC-TV로 명칭을 변경하고 새롭게 개편됐다. 하지만 1959년 2월 1일 화재로 방송 시설 모두가 불에 타면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채널이 회수됐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본격..추천 -
[비공개] [미디어포럼] 스마트TV 시장 연 30% 성장 사업자들 간 협력이 관건
- ‘스마트TV: 기술, 미디어 및 정책’ 심포지엄 김경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지난해부터 스마트폰이 우리 사회와 미디어 업계에큰 변화를 몰고 오고 있다. 작은 기기의 출현이 이렇게 큰 사회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스마트폰의 등장은 우리 사회 전반을 바꾸어 놓았다. 올해 들어서는 스마트폰에서 나아가 스마트TV에 대한 세미나들이 하나둘 열리기 시작했다. 텔레비전에 나오는 TV 광고도 스마트TV로 바뀐 지 오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TV가 도대체 무엇이며,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지, 정책적으로 준비할 부분은 없는지 등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해 본 장은 마련되지 못했다. 학회, 새 미디어로 스마트TV 가치 주목 그런 점에서 정보통신정책학회와 한국방송학회, 한국통신학회 등 3대 학회가 주최..추천 -
추천
-
[비공개] [산업/정책] 외모·댄스·패션 ‘종합 상품’ 문화수출 넘어 국가 브..
- ‘신한류’ 케이팝의 문화·경제적 의미와 지속 가능성 고정민 홍익대 경영대학원 교수 한류는 1997년 중국에서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방영된 이후부터 3단계에 걸쳐 발전했다. 제1단계는 한류 생성기로서 1997년부터 2000년까지 한류 콘텐츠가 해외 소비자들에게 첫선을 보여 강한 인상을 주었던 시기이다.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에서 보지 못했던 드라마와 댄스음악을 중심으로한 한국 음악이 중국·대만 등지에서 인기를 끌었다. 제2단계는 한류 심화기로서 2000년 초기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류 드라마가 크게 부각된 시기이다. 2단계 초반인 2002년부터 2003년까지는 1단계의 붐을 이어받지 못하고 침체 국면이었으나 ‘겨울연가’가 일본에서 크게 히트하면서 한류 붐은 다시 이어졌다. 겨울연가는 일본 중년 여성층에게 젊은시절의 향수를 불..추천 -
[비공개] [산업/정책] 동영상 무한경쟁 N스크린 시대 방송사 영향력 줄어든다
- 대안적 콘텐츠 유통 플랫폼 확산이 방송에 미치는 영향 박상호 한국방송협회 연구위원 최근 들어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서비스인 OTT(Over The Top) 서비스는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등과 같은 동영상 콘텐츠를 전달하는 서비스를 총칭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동영상 이외에 데이터, 광고, 전자상거래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도 서비스 영역에 포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TV에만 구현되는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협의의 OTT로 볼 수 있으며, PC와 TV 모두 구현되는 동영상 서비스를 광의의 OTT로 정의할 수 있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는 다양한 단말기 제조사와의 제휴를 통해 이용 가능한 단말기를 확대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됨으로써 특히 미국 지역에서는 유료 방송의 대체재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온라인 동영상 시장의 진화가..추천 -
[비공개] [취재기/제작기] 자만을 거부하는 바다, 해녀 삶만큼 힘든 수중촬영
- 국민일보 ‘제주 한수풀 해녀학교를 가다’ 이병주 국민일보 기자 “너, 스쿠버 할 줄 알아? 해 본 적 있어?” 처음 해녀학교를 사진 기획으로 취재하겠다는 말에 데스크가 처음 한 말이다. “스쿠버까지 할 필요 있나요? 숨 좀 참고 찍으면 되겠죠.” “카메라는?” 부장의 말에 “방수팩 있잖아요.” 이렇게 쉽게 일을 할 줄 알았는데 점점 일이 꼬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태풍으로 인해 김포공항에서 아쉽게 되돌아가야 했고, 극성수기로 인해 두세 배나 비싼 렌터카와 숙박비, 만석이 된 항공기 때문에 애를 먹기도 했다. 매주 토요일에만 수업을 하는 관계로 결국 두 번의 취재로 사진 기획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은 전초전에 불과했다. 쉽게 생각했던 수중촬영이 해녀 교육생과 녹조로 인해 쉽지 않았다. 아직 잠수가 서투른..추천 -
[비공개] [취재기/제작기] 언행일치가 힘든 현실 우리는 정의에 솔직한가?
- SBS 스페셜 ‘대한민국에 정의를 묻다’ 누군가 물었습니다. 대한민국에 정의를 물을 만큼 정의에 대해 깊게 고민하며 살아왔냐고. 어린 시절 불의에 맞서는 투사를 동경한 적은 있지만 고백건대 정의의 사도가 일생의 목표는 아니었습니다. ‘정의에 대한 정의’ 사람마다 천차만별 하지만 궁금했습니다. 과연 지금의 우리 사회가 정의를 찾아야 할 만큼 부당한 것인지. 자기 자식을 불한당으로 키우는 부모가 어디 있겠습니까? 법이나 약속을 지키는 게 손해라고 가르치는 선생님도 아마 없을 겁니다. 위정자들 역시 ‘정의 사회 구현’부터 ‘공정 사회’까지 한결같이 좋은 세상을 다짐해 왔는데, 왜 많은 사람들이 새삼스럽게 정의를 찾을까요? 그래서 용기를 냈습니다. ‘정의’란 것이 실은 인간의 본성으론 지키기 힘든 이상은 아닌지, 각자 ..추천 -
[비공개] [바른말 좋은기사(75)] 트로트는 성인가요, 고가품은 명품?
이경우 서울신문 어문팀 차장·한국어문기자협회장 이 땅에 뿌리내린 지 근 100년. ‘뽕짝’으로 비하되고 일본 ‘엔카’의 아류로 폄하됐다. 사람들은 하층민, 중장년층, 저속함이라는 틀로 바라봤다. 구시대적이고 낡았다는 취급을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트로트는 우리의 가난했던 삶과 아픔과 슬픔과 기쁨 곁에 늘 함께 있었다. 전통적인 대중가요로 굳건히 자리를 잡아 가고 있다. ‘청소년 트로트 가요제’ 같은 행사도 열리는 걸 보면 남녀노소가 즐기는 장르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직 중고교 교과서에 트로트 등 대중가요가 실리기는 무리인가 보다. 청소년들이 즐기는 음악이라면 트로트 등도 교과서에 실리면 어떨까 싶다. 혹 트로트는 ‘성인가요’라는 저변의 인식이 이를 방해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인터넷에는 트로트를 대신해 ‘성인가..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