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공개] Windows 7 운영 체제용 KB3125574 통합 패치 공식 제공..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Windows 7 운영 체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2011년 2월에 출시된 Windows 7 서비스 팩 1 (SP1) 이후로 통합팩을 제공하지 않는 문제로 포맷을 할 경우 엄청난 시간 동안 보안 패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포맷 후 Windows 7 운영 체제의 Windows Update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해결법 (2016.3.2) 특히 Windows Update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도 있으며..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 -
[비공개] TeslaCrypt 랜섬웨어 시대의 종말과 복호화 도구 공개 (201..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2015년 초에 등장하여 최근까지 문서, 사진, 압축 파일 등을 암호화하여 돈을 요구하던 TeslaCrypt 랜섬웨어(Ransomware)가 최근 서비스를 완전히 종료함에 따라 제작자가 복호화 키를 공개하였다는 소식입니다. 이에 따라 BleepingComputer와 ESET 보안 업체에서는 TeslaCrypt 랜섬웨어로 암호화된 파일을 완벽하게 복구할 수 있는 복구툴을 공개함에 따라 사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TeslaCrypt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 -
[비공개] 커피 체인점 와이파이를 통한 정보 탈취 악성앱 주의 (2016.5.18)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2016년 3월 9일경 이메일을 통해 제보받은 안드로이드(Android) 악성앱을 사정상 열어보지 않았다가 최근에서야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공용 와이파이 접속시 유포되는 Skype Voice 악성앱 주의 (2015.11.10) 해당 악성앱은 유명 S 커피 체인점을 방문하여 제공되는 와이파이(Wi-Fi) 접속 시 다운로드되었다고 하며, 2015년경에도 매우 유사한 "Skype Voice" 악성앱이 커피 체인점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유포된 적이 있었습니..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 -
[비공개] 드라마 영상 파일로 위장한 파밍(Pharming) 악성코드 유포 사례..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최근의 인터넷뱅킹를 노리는 파밍(Pharming) 악성코드는 국내 광고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감염을 시키는 방식으로 활발하게 유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개인적으로 7개월 넘게 관련 파일을 살펴보지 않던 중에 2014년 11월경에 토렌트(Torrent)를 통해 유포된 사례가 확인되어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확인된 유포 파일은 1.2 GB 파일 크기를 가진 "[tvN] 미생.E06.141101.HDTV.H264.72..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 -
[비공개] 검색 도우미 : 게임플레이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2015년 5월경부터 특정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ActiveX 방식으로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의 우측 영역에 광고바를 생성하는 게임플레이 광고 프로그램(SHA-1 : a6fe05930689a350adccd796e8e027a7e7074d50 - AVG : Win32/DH{gVEkWw?})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성 폴더 / 파일 등록 정보 C:\Program Files\GamePlay C:\Prog..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 -
[비공개] CryptXXX 2.0 랜섬웨어 복호화 도구 업데이트 소식 (2016..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보안 패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PC 환경에서 악의적으로 조작된 웹사이트 접속 시 취약점(Exploit)을 이용한 자동 감염 방식으로 .crypt 파일 확장명 주요 데이터 파일을 암호화하는 CryptXXX 랜섬웨어(Ransomware)가 2016년 4월 중순경부터 유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CryptXXX 랜섬웨어(Ransomware) 복호화 도구 : Kaspersky RannohDecryptor (2016.4.27) CryptXXX 랜섬웨어(..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 -
[비공개] MBR 변조 또는 파일 암호화를 수행하는 Mischa 랜섬웨어 주의 ..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2016년 3월에 공개된 PETYA 랜섬웨어(Ransomware)는 Master Boot Record (MBR) 영역을 변조하여 정상적인 Windows 운영 체제 부팅을 방해하여 금전을 요구하였으며 실제 PC에 저장된 데이터 암호화는 진행하지 않는 형태였습니다. MBR 변조를 통해 부팅을 방해하는 PETYA 랜섬웨어 주의 (2016.3.28) 그런데 최근 PETYA 랜섬웨어의 새로운 변종인 Mischa 랜섬웨어가 등장하였으며, 기존과 다르게 실행 시..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 -
[비공개] 업데이트 : Adobe Flash Player 21.0.0.242 &..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Adoe 업체에서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상의 Flash 콘텐츠 재생을 위한 Adobe Flash Player 제품과 Adobe AIR 런타임 제품에서 발견된 25건의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Adobe Flash Player 21.0.0.242 버전과 Adobe AIR 21.0.0.215 버전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 -
[비공개] nProtect Netizen v5.5 보안 취약점에 따른 업데이트 ..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인터넷뱅킹 서비스를 이용 시 필수적으로 설치를 요구할 수 있는 nProtect Netizen v5.5 온라인 보안 솔루션 제품이 설치된 환경에서 사용자가 악의적으로 조작된 웹 사이트 접속 시 원격 코드 실행이 가능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보안 패치가 이루어졌다는 소식입니다. nProtect Netizen v5.5 임의코드실행 취약점 보안업데이트 권고 (2016.5.4) 이에 따라 nProtect Netizen v5.5 구버전이..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 -
[비공개] 업데이트 : Chrome 50.0.2661.102
.hbad_1 { width: 320px; height: 100px; position:relative; left:50%; margin-left:-160px; } @media(min-width: 500px) { .hbad_1 { width: 468px; height: 60px; margin-left:-234px; } } @media(min-width: 800px) { .hbad_1 { width: 336px; height: 280px; margin-left:-168px; } }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구글(Google) 업체에서 제공하는 Chrome 웹 브라우저의 새로운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Chrome 50.0.2661.102 버전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최근 Adobe Flash Player 제로데이(0-Day) 보안 취약점(CVE-2016-4117) 및 다중 보안 취약점 문제를 해결한 자체 내장된 "Adobe Flash Player 21.0.0.216 버전 → Adobe Flash Player 21.0.0.242..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추천